React5 React에서 사용자 친화적인 시간 입력 컴포넌트 만들기 들어가며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시간 입력은 생각보다 까다로운 UX 과제입니다. 사용자는 빠르고 직관적으로 시간을 입력하길 원하지만, 잘못된 입력을 방지하고 일관된 형식을 유지해야 하는 개발자의 요구사항도 충족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React를 사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시간 입력 컴포넌트를 구현한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기존 시간 입력의 문제점일반적인 시간 입력 방식의 문제점들:형식 강제: "HH:MM" 형식을 엄격하게 요구하여 사용자가 실수하기 쉬움범위 검증 부재: 25:00, 14:75 같은 잘못된 시간 입력 가능불편한 수정: 콜론(:) 위치에서 백스페이스 시 예상치 못한 동작타입 에러: 숫자가 아닌 문자 입력 가능개선된 시간 입력 컴포넌트 기능1. 실시간 범위 검증 - 리팩토링된 접근 방식먼저 매직 .. 2025. 7. 19. React 메모이제이션 가이드 - useCallback 중심의 2025년 성능 최적화 🚀 React 19 시대의 성능 최적화, 무엇이 달라졌을까?2025년, React 생태계는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React 19의 등장과 함께 도입된 React Compiler는 자동 메모이제이션을 제공하며, useOptimistic, useActionState 같은 새로운 훅들은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렸습니다.그렇다면 이제 useCallback은 더 이상 필요 없는 걸까요? 답은 "아니오"입니다. 오히려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React 19 환경에서 useCallback의 역할과 위치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React Compiler와 수동 최적화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새로운 훅들(useOptimistic, .. 2025. 7. 14. CSR(Client-side Rendering)이란? (+SSR 비교) 🤔 CSR(Client-side Rendering)이란? Client-side Rendering(CSR)은 웹 페이지의 콘텐츠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하는 방식이다. 서버에서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클라이언트로 보내고, 클라이언트에서 JavaScript를 실행하여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서버의 부하가 감소하고, 많은 인터랙티브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자주 사용되는 웹 프레임워크로는 React, Angular, Vue.js 등이 있다. 😎 장점 ✅ 인터랙션 향상 CSR은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 페이지의 동작에 따라 실시간으로 콘텐츠가 변경되어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 웹에서 페.. 2023. 6. 28. [React] useCallback 사용법 정리 👩💻 이 글을 쓰게 된 계기... React는 Virtual DOM을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렌더링 성능을 최적화한다. 그러나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React의 useCallback 훅을 사용하여 함수를 재사용하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떤 상황에서 써야 이게 잘 썼는지 소문이 날까? 란 생각에 정리해 보았다. 👁🗨 useCallback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일단 이론적으로 React에서 useCallback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이벤트 핸들러 함수가 자주 재생성되는 경우 useCallback을 사용하지 않으면 이벤트 핸들러 함수는 매번 새로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그러나 useCallback을 사용하면 함수가 처음 생성.. 2023. 4. 28. 이전 1 2 다음